본문으로 건너뛰기

OSI 7 Layer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OSI 모형(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국제 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SI 7 계층 모형이라고 한다. 이 모델은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나눈 것이다.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토콜 스택 혹은 스택은 이러한 계층들로 구성되는 프로토콜 시스템이 구현된 시스템을 가리키는데,

OSI 참조 모델은 데이터 통신을 7 단계로 나누는데 이 단계를 계층(Layer)이라고 한다. 각 계층마다 각 계층의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각 계층은 각각 독립해 있으며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을 위해 일하고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에 대해 관여하지 않는다.

왜 OSI를 7개의 계층으로 구분했는가?

  • 통신에 관련된 공통 목적을 달성할 때 계층별로 분할하여 분업이 가능하다.
  •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가 발생한 곳을 특정할 수 있기에 보수가 용이하다.
  • 통신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다.

Application Layer

사용자가 UI로 접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계층으로 HTTP, FTP, DHCP, SMTP, DNS등이 있다. 여기에 속한 프로토콜들은 어떠한 방법으로든 사용자와 직접 접하게 된다.(Data + HTTP Header)

Transport Layer

송신자와 수신자의 논리적 연결(Connection)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신뢰성 있는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즉 Endpoint(사용자) 간의 연결을 생성하고 데이터를 얼마나 보냈는지 얼마나 받았는지, 제대로 받았는지 등을 확인한다. TCP, UDP가 대표적이다.(Data + HTTP Header + TCP Header)

Network Layer

IP(Internet Protocol)이 활용되는 부분으로, 한 Endpoint가 다른 Endpoint로 가고자할 경우, 경로와 목적지를 찾아준다. 이를 Routing이라고 하며 대역이 다른 IP들이 목적지를 향해 제대로 찾아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Data + HTTP Header + TCP Header + IP Header)

같은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단말들에 대해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한다. 즉 "MAC Address"를 활용하여 같은 구간 내의 Endpoint 혹은 Switching 장비에 전달하며, 1 Layer에 해당하는 물리 계층에 생길 수 있는 오류를 찾아낸다.(Data + HTTP Header + TCP Header + IP Header + Ethernetframe Header)

Physical Layer

'Cable'로 대표되는 물리적인 계층으로 전기적 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이다.

물리 계층(Physical Layer)

0과 1의 데이터를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 전선으로 흘려보내고,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불연속적인 0과 1의 데이터로 변환 및 전달을 담당한다.

물리 계층에선 데이터의 전달만을 담당할 뿐 데이터의 오류 체크, 데이터의 상태 등 데이터의 내부엔 관심이 없다.

Reference